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심방세동' 환자, 5년새 35%↑…고혈압>심부전>고지혈증 동반질환順:뉴스맥
로고

'심방세동' 환자, 5년새 35%↑…고혈압>심부전>고지혈증 동반질환順

2016년 18만명→2020년 24만명 진료환자, 진료비도 1천46억→1천980억 공단 집계…60대 이상 80%에 평균 입원 일수 7일, "항응고 요법 필요"

신중돈 master@newsmac.co.kr | 기사입력 2022/07/07 [12:00]

'심방세동' 환자, 5년새 35%↑…고혈압>심부전>고지혈증 동반질환順

2016년 18만명→2020년 24만명 진료환자, 진료비도 1천46억→1천980억 공단 집계…60대 이상 80%에 평균 입원 일수 7일, "항응고 요법 필요"

신중돈 master@newsmac.co.kr | 입력 : 2022/07/07 [12:00]

심장질환으로 가장 흔한 부정맥질환으로 지목되는 심방세동의 진료환자가 지난 5년새(2016~2020년) 35% 이상 급증을 기록했다.

 

심방세동 환자의 동반질환은 고혈압이 25%로 최다인 데 이어 심부전, 고지혈증 순으로 집계됐다.

 

심방세동은 심방에서 발생되는 빠른 맥의 형태로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키는 부정맥질환을 말한다.

 

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이 7일 발표한 2016~2020년 심방세동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에 따르면 환자는 2016년 18만954명에서 2020 24만4,896명으로 35.5% 증가됐다.

 

성별론 남성이 2020년 14만7,658명으로서 2016년 대비 38.3%, 여성은 9만7,238명으로 각각 31.1% 늘었다.

 

입원은 2016년 2만2,881명에서 2020년 2만4,411명으로 6.7%(1,530명), 외래도 17만5,112명에서 23만9,609명으로 36.8%(6만4,487명) 크게 증가된 것으로 집계됐다.

 

심방세동은 나이를 먹을수록 환자가 늘었다. 2020년 기준 70대 환자가 32.8%(8만305명)로 가장 많았다. 남녀 모두 70대가 각각 31.0%(4만5,793명), 35.5%(3만4,512명)을 차지했다.

 

연령별론 70대에 이어 60대 26.4%(6만4,681명), 80세 이상 23.6%(5만7,882명) 순으로 60대 이상에서 약 80%나 점유했다.


심방세동 환자의 동반질환은 고혈압이 25.3%로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심부전 11.9%, 고지혈증 9.9% 순이며, 연령대별 다빈도 동반질환 분석 결과도 동일한 순으로 나타났다.

                   자료 : 건강보험공단

고혈압·심부전 외 질환 중 40세 미만 심방세동 환자에게선 심장박동이상, 발작성빈맥 등이, 40세 이상 환자에게는 당뇨병 등이 다빈도 동반질환으로 집계됐다.

 

진료비도 2020년 기준 1,980억으로 2016년(1,046억)보다 89.3% 급증(연평균 증가율 17.3%)했는데, 특히 남성은 628억에서 1,285억으로 104.8%나 크게 늘었다. 여성도 418억에서 695억으로 66.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심방세동 진료환자의 평균 입원 일수는 7일로 나타났으며, 입원 일수 3일 내 51.5%, 7일 내 79.9%로 전체 입원 환자 중 97.0%가 30일 내로 집계됐다.

 

외래 방문 환자의 방문 주기는 ‘90일 이상 180일 미만’(24%), ‘30일 이상  60일 미만(21.3%), ‘60일 이상 90일 미만’(17.8%) 순이었다.

 

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이한철 교수는 "심장은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스스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다"며 "사람의 심장은 각각 2개의 심방과 심실로 돼있어 위쪽에 위치한 심방은 혈액을 모아 심실로 펌프하지만, 비정상적 전기 신호가 심방 내로 들어오거나, 심방 자체에서 무질서한 전기 신호가 발생되면 심방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떠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심방세동으로 부른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 심부전 등의 다양한 심장질환이 심방세동의 원인으로, 가족력, 당뇨, 갑상선 항진증, 음주, 과체중, 수면무호흡증, 만성폐질환 등 여러 위험 인자들도 연관돼 있다"며 "그러나 상당수의 심방세동 환자는 증상이 없고, 뇌경색 등 치명적 합병증이 생긴 후에 비로소 진단이 되는 때가 많아 적절한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기본적으로 심전도를 통해 심방세동을 증명함으로써 진단을 내리게 된다"며 "고령일수록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고령이나 고위험군에게선 적절한 주기로 선별검사를 함으로써 조기에 진단돼야 한다. 치료법은 크게 항응고 요법, 심박수 조절, 리듬 조절로 나뉜다. 뇌경색 및 전신색전증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는 혈전의 생성을 방해하는 항응고제의 투여가 필요하다. 빠른 맥박수에 따른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약물을 상태에 따라 처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규칙적 운동, 식이요법, 술과 카페인을 줄이고, 금연과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등 통상적인 심혈관계질환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의 개선이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무엇보다 고혈압, 심근경색, 심부전 등 동반된 심장질환이 있다면 이에 대한 치료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